본문 바로가기
전자책

유통가능한 전자책 포맷 - PDF, EPUB의 특징 및 장단점

by 나는야IT 2024. 10. 14.
반응형

전자책 제작을 하고 판매를 하기 위한 첫번째 단계는 내가 가진 원고를 어떤 포맷의 전자책으로 제작할지를 결정하는 것입니다. 전자책으로 판매할 수 있는 포맷은 크게 2가지입니다. PDF와 EPUB입니다. 오늘은 각 파일 포맷의 특징과 제작하기에 적합한 도서의 종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썸네일

1. 파일포맷이란? 

파일 포맷이란 컴퓨터가 데이터를 저장하고 표현하는 방법입니다. 쉽게 말하면 워드파일 뒤에는 doc, docx, 엑셀에는 xlsx, 파워포인트는 ppt, pptx라는 확장자가 붙어있습니다. 이 포맷에 따라 어느 소프트웨어에서 어떻게 보여지는지가 결정이 됩니다. 전자책을 판매할때 가장 많이 사용되는 포맷은 PDF와 EPUB입니다. 어떤 포맷을 사용하느냐에 따라 내가 가진 컨텐츠를 전자책으로 잘 표현할 수 있으며, 독자의 입장에서는 전자책을 편하게 읽을 수 있게 됩니다. 

 

2. PDF란? 

PDF(Portable Document Format)는 Adobe에서 만든 파일 형식으로, 문서를 원본과 똑같이 유지하면서 다양한 기기에서 볼 수 있게 만든 포맷입니다. PDF는 고정된 형태로 문서를 유지합니다. 레이아웃이 고정되어 있어서 페이지의 구성이 변하지 않습니다. 

 

2.1. PDF의 장점 

- 고정된 레이아웃: PDF파일은 레이아웃이 고정되어 있어서, 어떤 기기에서 봐도 문서의 형태가 바뀌지 않습니다. 내가 가진 원고의 페이지가 100페이지면, PDF로 출력을 해도 그대로 100페이지가 됩니다. 내가 작업한 문서의 디자인 형태를 그대로 가져가기 때문에 복잡한 레이아웃의 표현을 그대로 할 수 있습니다. 

 

- 제작의 편의성: PDF는 제작하기가 편합니다. 모든 문서편집 프로그램(워드, 한글, 인디자인, 쿽 등등)을 보면 PDF내보내기 또는 PDF로 저장하기 기능이 있습니다. 내가 쓰는 책을 다 디자인 한 후 PDF내보내기만 하면 작업이 끝납니다. 

 

2.2. PDF단점 

- 유연성 부족: PDF는 레이아웃이 고정되어 있다보니 화면의 사이즈에 따른 유연성이 떨어집니다. 위와 같이 PC같은 경우 화면이 커서 가독성에 문제가 없지만 화면이 작아진다면 PDF문서도 작아지게 됩니다. 독자는 작은 화면에서 PDF를 보려면 손가락으로 화면을 키워가면서 봐야 합니다. 

 

- 확장성 부족: 국내에 유통되고 있는 PDF파일은 모두 이미지와 텍스트로만 구성이 되어 있습니다. PDF에 동영상이나 음성을 넣었을때는 개인적인 유통은 가능하지만, 일반 전자책 서점에서의 유통은 불가능합니다. 

 

2.3. PDF에 적합한 컨텐츠 

PDF에 적합한 컨텐츠 중 대표적인 것은 만화입니다. 만화의 특성을 생각하면 한 페이지 안에 작가가 생각하는 장면들이 들어가고 말풍선과 대사들이 고정된 레이아웃에 들어가게 됩니다. 

그림책이 있습니다. 그림책 역시 배경과 그 위의 그림들의 위치들 대사들이 의도한대로 정확하게 들어가 있어야 합니다. 

잡지류들도 있습니다. 레이아웃이 화려한 잡지의 디자인을 다 살리고 싶다면 PDF로 작업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렇게 고정된 레이아웃으로 봤을때 완성도가 생기고 가독성이 좋은 컨텐츠들은 PDF로 작업하는 것이 좋습니다. 

 

3. EPUB이란?

EPUB(Eloctronic Publication)은 국제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전자책 포맷입니다. "이펍" 또는 "이퍼브"이런식으로 읽습니다. EPUB을 한마디로 표현한 것이 있습니다. "Web in a box"웹페이지를 박스(단말기, 화면)에 담은 것입니다. EPUB은 웹기술을 기반으로  HTML과 CSS를 이용해 컨텐츠를 표현합니다. EPUB전자책을 제작한다는 것은 웹디자인을 한다는 말과도 어느정도 같습니다. 

 

3.1. EPUB장점

- 가변형 레이아웃: EPUB의 가장 큰 특징은 화면크기에 따라 텍스트가 자동으로 재배치가 됩니다. PDF와 같이 고정형 EPUB도 있지만, 보통 EPUB이라고 하면 가변형을 말합니다. 화면사이즈에 따라 형태가 변하기 때문에 PC부터 휴대폰까지 다양한 사이즈의 단말기에서 보는데 문제가 없습니다. 위와 같이 큰화면에서 작은화면으로 바뀌면 문단의 형태가 재배치 되게 됩니다. 

 

- 웹 기술 기반: EPUB은 HTML과 CSS로 구성이 되어 있습니다. 웹페이지를 생각해 보면 처음에 텍스트와 이미지만으로 구성하고, 뒤에 음성, 동영상이 있으면 확장이 가능합니다. 이렇게 EPUB역시 기본에서 확장이 가능한 포맷입니다. 

 

3.2. EPUB단점

- 고정된 레이아웃 표현 부족: EPUB중 가변형 EPUB의 경우, 레이아웃이 복잡한 문서는 표현이 적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가능은 하지만 다양한 사이즈의 단말기에 들어갔을때 원본의 디자인이 제대로 표현이 안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제작의 어려움: EPUB은 HTML과 CSS코드를 편집해 제작을 합니다. 어느정도의 코드편집 능력이 필요합니다. 웹관련 지식이 하나도 없다면 처음엔 어려움이 있을 수 있습니다. 

 

3.3. EPUB에 적합한 컨텐츠 

가변형 EPUB에 적합한 컨텐츠는 대부분의 성인 단행본들입니다. 텍스트 위주의 도서들이라면 가장 좋은 포맷이 가변형 EPUB입니다. 소설, 에세이, 자기계발, 경제경영서 등등의 장르들이 EPUB으로 제작되고 판매되고 있습니다. 

 

4. 내가 가진 컨텐츠는 어떤 포맷이 적합할까? 

4.1. 어디에 유통할 것인지에 따라 결정 

사실 정답은 없습니다. 내가 가진 컨텐츠가 텍스트 위주지만 판매하는 곳이 이메일을 이용한 개인 판매거나 크몽과 같은 플랫폼이라면 텍스트 위주의 컨텐츠여도 PDF로 제작하는 것이 나을 수 있습니다.

텍스트 위주의 컨텐츠이고 일반 전자책 서점들(교보, 예스24, 알라딘, 리디북스)에 판매를 하고 싶다면 가변형 EPUB로 제작하는 것이 낫습니다. 

 

4.2. 어떤 컨텐츠인지에 따라 결정 

일반 전자책 서점에 유통한다면 위에서 알려드린 PDF와 EPUB의 특징을 파악하고 내가 가진 컨텐츠에 적합한 포맷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4.3. 다양한 샘플들을 보고 결정 

리디북스해외여행카테고리
리디북스 해외여행 카테고리

전자책 서점에 들어가면 각 도서들의 포맷이 나와 있습니다. 그리고, 무료전자책들을 다운로드 받아 볼 수도 있습니다. 내가 쓰고 있는 원고가 여행관련 책이라면 전자책 서점의 여행 카테고리로 들어갑니다. 

여행 카테고리의 전자책들이 어떤 포맷으로 제작이 되어있는지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리디북스무료전자책
리디북스 무료전자책

그리고, 각 서점마다 위와 같이 무료 전자책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 다양한 무료 전자책을 보고 어떤 식으로 디자인이 되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 좋습니다. 

 

5. 결론 

PDF또는 EPUB으로 전자책을 제작한다면 국내 모든 전자책 유통사에 판매가 가능합니다. 각 포맷의 특징을 잘 살펴보고 현재 자기가 쓰고 있는 원고의 특징과 맞는 포맷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반응형